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 1.1 초난감 DAO
스프링이 가장 관심을 많이 두는 대상은 오브젝트다.
오브젝트에 대한 관심은 오브젝트 설계 방법인 디자인 패턴, 구조를 개선하는 리팩토링, 검증하는데 쓰이는 테스트를 발전시켰다.
1.1 초난감 DAO
1.1.1 User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자바빈 규약을 따르는 User 클래스를 만든다.
public class User {
String id;
String name;
String password;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Password() {
return password;
}
public void setPassword(String password) {
this.password = password;
}
}
자바빈(JavaBean)은 두 가지 관례를 따라 만들어진 오브젝트를 가리킨다.
디폴트 생성자 : 프레임워크에서 리플렉션을 이용해 오브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프로퍼티 : 자바빈이 노출하는 이름을 가진 속성을 프로퍼티라고 한다. 프로퍼티는 set, get 메소드를 이용해 수정, 조회할 수 있다.
1장_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55.
1.1.2 UserDao
UserDao 는 User 객체를 DB 에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클래스이다.
DB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JDBC 를 이용해야 됙, 이를 위해 UserDao 를 구현해 보자.
UserDao 는 User 데이터를 DB 에 저장하는 add 메소드, 저장된 User 데이터를 가져오는 get 메소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public class UserDao {
public void add(User user)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Class.forName("com.mysql.jdbc.Driver");
Connection c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mysql://localhost/springbook?", "spring", "book");
PreparedStatement ps = c.prepareStatement("insert into users(id, name, password) values(?,?,?)");
ps.setString(1, user.getId());
ps.setString(2, user.getName());
ps.setString(3, user.getPassword());
ps.executeUpdate();
ps.close();
c.close();
}
public User get(String id)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Class.forName("com.mysql.jdbc.Driver");
Connection c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mysql://localhost/springbook?characterEncoding=UTF-8", "spring", "book");
PreparedStatement ps = c.prepareStatement("select * from users where id = ?");
ps.setString(1, id);
ResultSet rs = ps.executeQuery();
rs.next();
User user = new User();
user.setId(rs.getString("id"));
user.setName(rs.getString("name"));
user.setPassword(rs.getString("password"));
rs.close();
ps.close();
c.close();
return user;
}
}
1.1.3 main() 을 이용한 DAO 테스트 코드
만들어진 코드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해 UserDao 에 main() 메소드를 만들어서 UserDao 를 테스트 해본다.
public class UserDao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
UserDao dao = new UserDao();
User user = new User();
user.setId("whiteship");
user.setName("백기선");
user.setPassword("married");
dao.add(user);
System.out.println(user.getId() + " 등록 성공");
User user2 = dao.get(user.getId());
System.out.println(user2.getName());
System.out.println(user2.getPassword());
System.out.println(user2.getId() + " 조회 성공");
}
}
테스트용 main 메소드를 실행해보면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위의 UserDao 는 객체지향적으로 만들어진 코드는 아니다.
이제부터 이 UserDao 를 고쳐가면서 객체지향 기술의 원리에 충실한 코드를 만들어 보겠다.
일단 UserDao 클래스 코드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스스로 생각해보자.
문제점이라고 하면 뭔가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야 할 텐데, 사실 위의 DAO 는 우리가 기대했던 기능을 충실하게 동작한다는 사실을 초간단 main() 메소드 테스트 방식을 이용해 이미 두 눈으로 검증했다
그렇다면, 왜 이 모드에 문제가 많다고 하는 것일까?
잘 동작하는 코드를 굳이 수정하고 개선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
그렇게 DAO 코드를 개선했을 때의 장점은 무엇일까?
그런 장점들이 당장에, 또는 미래에 주는 유익은 무엇인가? 또, 객체지향 설계의 원칙과는 무슨 상관이 있을까?
이 DAO 를 개선하는 경우와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을 사용하는 개발에서 무슨 차이가 있을까?
스프링을 공부한다는 건 바로 이런 문제 제기와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이다.
1장_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59.